본문으로 바로가기

WBCH 정형외과 · 내과 특성화 병원 서부산센텀병원

Home > 센텀 TIMES > 질환정보

질환정보



건강정보_타이틀.png

부재1_어떤증상인가요.jpg
 
33.jpg

 <족저근막이 종골에서 시작하는 뒤꿈치 안쪽에서 증상발생 시작>


대개 통증은 발 뒤꿈치 바닥의 안쪽에서 시작하며, 발바닥의 안쪽 경계를 따라 발바닥 중앙으로 연장될 수 있습니다. 특징적으로 통증은 아침에 일어나서 첫 발을 내디딜 때나 오래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서서 걷기 시작할 때 더 심하게 느껴지며, 활동함에 따라 수 분이 경과하면 약간 경감되지만, 많이 걸으면 통증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통증은 걸을 때 뒤꿈치에 체중을 싣지 못할 정도로 심해지기도 합니다.

 

부재2_발생부위와 원인은.jpg

 족저 근막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과사용
우리 몸은 어느 정도의 충격이나 반복적인 스트레스에는 견디거나 적응하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조직의 손상을 입게 됩니다.

오래 서 있거나 많이 걸으면 뛰꿈치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데, 특히 중년이고, 체중이 많이 나가며, 평소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 갑자기 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 이 같은 원인으로 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팽팽한 족저 근막 또는 아킬레스건
잠을 자거나 편안한 자세로 쉬고 있을 때는 보통 발이 아래쪽으로 축 쳐지고 족저 근막은 짧아진 상태에 있게 됩니다.

그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서 발을 디디면 순간적으로 족저 근막이 늘어나면서 미세한 파열이 발생하거나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서 뼈를 당겨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킬레스 건이 짧거나 발목의 배굴 운동 (발목을 위쪽으로 젖히는 것) 범위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걸을 때 발뒤꿈치가 땅에서 빨리 떨어지면서 발가락이 과도하게 배굴되는데, 이 때 족저 근막이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발의 변형
평발이 심하거나 발 뒤꿈치가 바깥쪽으로 많이 휘어진 경우 (외번)에는 족저 근막이 늘어나므로 염증과 퇴행성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평발이 아닌 경우에도 족저 근막염은 흔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발의 피로
걸을 때 족저 근막은 9~12% 정도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데, 발의 근육들이 수축하여 족저 근막이 갑자기 늘어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한다.

그러나 발이 피로한 경우에는 발의 근육들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여 족저 근막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미세 파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재3_어떻게치료하나요.jpg

 족저 근막염은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며, 조기에 치료를 사직할 경우에는 보존적 또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약 6주에서 8주사이에 거의 대부분 좋아집니다.

그러나 보통 어느 정도 증세가 오래 경과된 후에서야 병원을 찾게 되므로 6개월 이상의 보존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에도 90% 이상은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족저 근막염의 보존적 치료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족저 근막염은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원인에 따라서 각 치료법의 중요도나 우선순위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족부 전문 의사와 상담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운동량 및 방법 조절
통증은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몸이 보내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통증이 있는데도 이를 참고 운동을 더 열심히 하는 것은 금물이며, 원인을 찾아서 조절을 해야 합니다.

갑작스러운 운동량의 증가나 체중의 증가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장거리 걷기나 뛰기, 오르막 달리기 등은 하지 말아야 하며, 유산소 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실내 자전거 타기나 수영 등이 좋습니다.


2) 스트레칭 운동
족저 근막염의 치료 방법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한 가지를 뽑으라고 한다면 아킬레스 건 및 족저 근막의 스트레칭 운동입니다. 아킬레스 건이 짧아서 발목이 충분히 꺽이지 않는 경우에는 특별히 아킬레스 건 스트레칭 운동을 족저근막의 스트레칭과 함께 열심히 해야 합니다.

특히 아침에 발을 디디기 전이나 한참 앉아있다 걸어야 하는 경우에는 걷기 전에 가볍게 스트레칭하는 것을 습관화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3) 근력 강화 운동
발의 근육이 쉽게 피로해지면, 근막의 손상을 방지하는 근육의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발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의장에 앉아서 바닥에 수건을 길게 깔아놓고, 무릎은 고정한 채로 발가락만 사용하여 수건을 끝까지 밀어내는 운동과 당기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가락으로 수건을 집어 올리고 버티는 운동도 좋습니다.


4) 보조기 착용과 신발 조절

일반적으로 바닥이 얇고 잘 구부러지는 신발이 발에 편한 신발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바닥이 얇고 낭창낭창한 신발은 발을 보호하는 기능이 별로 없으며 걸을 때 모든 스트레스가 그대로 발에 전달되게 됩니다.

등산화처럼 겉창이 두껍고 딱딱해서 잘 꺽이지 않는 신발은 걸을 때 발가락이 많이 꺽이지 않기 때문에 족저근막이 덜 신장되게 됩니다.
반면, 신발 속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뒤꿈치 패드를 사용하여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주고 발의 아치가 높은 경우에는 맞춤형 깔창을 착용하여 하중이 뒤꿈치에 집중되지 않고 발바닥에 넓게 분산되도록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편 밤에 잘 때 족저근막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목을 족저굴곡되지 않도록 해주는 야간 보조기를 착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 투약
흔히 소염제라고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는 주로 염증이 동반된 급성기에 효과가 있습니다.

만성인 경우에는 염증보다는 건의 퇴행성변화가 동반되므로, 이때는 염증을 가라 앉히는 목적보다는 아플 때 진통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스테로이드 주사
스테로이드 주사를 아픈 부위에 국소적으로 주입하는 방법은 염증을 감소시켜 통증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2회 이상 사용하면 자칫 근막을 파열시키거나 뒤꿈치 지방체의 위축과 같은 더 큰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7) 체외 충격파 치료
6개월 이상의 다른 보존적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 전 단계에서 체외 충격파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8) 수술적 치료
6개월 이상의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족저 근막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늘려주거나 병소 부위를 부분적으로 절제해 내는 것인데 수술 후에도 혈종이나 상처조직 등으로 인해 통증이 지속될 수 있고 신경손상 등의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만 시행하게 됩니다.




 ※출처 - 대한정형외과학회

 

 
건강정보_엔딩타이틀_최종.jpg

 
 
 
 g7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의료진 프로필 창닫기